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뇌척수막 구조 및 뇌척수액 흐름 | 해부학적 분석

해부 생리학

by no1pt 2025. 3. 4. 19:41

본문

반응형

뇌와 척수를 감싸고 보호하는 세 개의 뇌척수막(meninges)과 뇌척수액(CSF, cerebrospinal fluid)의 흐름을 나타내며

뇌척수막은 경막(dura mater), 거미막(arachnoid mater), 연막(pia mater)으로 구성되며,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 중요한

합니다.

 

1. 뇌척수막(Meninges)의 구조와 기능

 

① 경막(Dura Mater)

  • 가장 바깥층에 위치하는 강하고 두꺼운 막.
  • 외층(뇌척수막층, periosteal layer)과 내층(뇌막층, meningeal layer)으로 나뉨.
  • 뇌를 감싸며, 두개골 내에서 정맥동(venous sinus) 형성에 기여.
  • 척수의 경막은 두개골과 달리 단층으로 구성됨.

② 거미막(Arachnoid Mater)

  • 경막 아래 위치하며, 얇고 반투명한 중간층.
  • 거미막하 공간(Subarachnoid space)과 맞닿아 있어 뇌척수액(CSF)이 흐름.
  • 거미막 과립(Arachnoid granulations)을 통해 정맥동으로 뇌척수액이 흡수됨.

③ 연막(Pia Mater)

  • 뇌와 척수의 표면을 직접 덮고 있는 가장 안쪽 막.
  • 혈관이 풍부하여 뇌조직에 영양을 공급함.
  • 뇌실질(Brain tissue)과 밀접하게 붙어 있어 보호 기능을 수행.

2. 뇌척수액(CSF, Cerebrospinal Fluid)과 거미막하 공간

 

① 뇌척수액(CSF)의 기능

  • 뇌와 척수를 보호하며, 충격 완화 역할 수행.
  • 영양소 공급 및 노폐물 제거 기능.
  • 뇌척수액은 뇌실계(ventricular system)에서 생성되어 거미막하 공간을 통해 순환.

② 거미막하 공간(Subarachnoid Space)

  • 거미막과 연막 사이의 공간.
  • 뇌척수액이 흐르는 주요 경로이며, 혈관이 분포하여 뇌조직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
  • 거미막 과립을 통해 정맥동으로 흡수되어 뇌척수액 순환을 유지.

 

3. 임상적 중요성

 

① 뇌수막염(Meningitis)

  • 뇌척수막의 염증으로 세균,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
  • 고열, 두통, 경부 강직 등의 증상이 나타남.

②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 거미막하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하여 뇌척수액 내에 혈액이 섞이는 상태.
  • 뇌동맥류 파열이 주요 원인.
  • 심한 두통과 의식 저하 발생 가능.

③ 수두증(Hydrocephalus)

  • 뇌척수액의 흐름이 차단되거나 흡수 장애로 인해 뇌실 내 압력이 상승하는 질환.
  • 선천적 원인(선천성 뇌수두증) 또는 후천적 원인(뇌출혈, 감염 등)으로 발생.

 

핵심요약

뇌척수막은 뇌를 보호하는 경막, 거미막, 연막의 세 층으로 구성되며, 뇌척수액이 흐르는 거미막하 공간을 포함하며 뇌척수액은 충격을 완화하고, 영양을 공급하며, 노폐물을 제거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