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흉막(Pleura) 및 흉막강(Pleural Cavity) 해부학적 정리

해부 생리학

by no1pt 2025. 2. 27. 21:06

본문

반응형

흉막은 폐를 감싸는 이중층 장막(serous membrane)으로, 폐의 원활한 확장과 수축을 돕고, 마찰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흉막은 두 층으로 나뉘며, 이들 사이에는 흉막강(pleural cavity)이 존재합니다.

1. 흉막(Pleura)의 구조

흉막은 크게 벽측흉막(parietal pleura)과 장측흉막(visceral pleura)으로 구성됩니다.

 

1) 벽측흉막(Parietal Pleura, 壁側胸膜)

  • 흉강(thoracic cavity)의 내벽을 덮고 있는 흉막층.
  • 해부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부분으로 세분화됨.
    • 늑흉막(costal pleura): 늑골(rib)과 늑간근(intercostal muscles)에 부착.
    • 횡격막흉막(diaphragmatic pleura): 횡격막(diaphragm)에 부착.
    • 종격흉막(mediastinal pleura): 종격(mediastinum)과 접함.
    • 정점흉막(cervical pleura, cupula): 흉강의 최상부로, 쇄골(clavicle) 위쪽으로 돌출. 폐첨부(apex of lung)를 덮고 있으며, 흉막이 쇄골을 넘어 첫 번째 늑골(rib 1) 위쪽까지 연장됨.

2) 장측흉막(Visceral Pleura, 臟側胸膜)

  • 폐 표면에 직접 밀착되어 폐를 덮는 얇은 막.
  • 폐의 실질(폐포, 기관지 등)과 밀착하여 폐의 움직임을 보호하고 마찰을 감소시킴.
  • 폐문(hilum) 부위를 제외하고는 폐 전체를 덮고 있음.

2. 흉막강(Pleural Cavity, 胸膜腔)

  • 벽측흉막과 장측흉막 사이의 얇은 공간으로, 폐가 팽창할 때 충분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함.
  • 정상적으로는 약 5~10mL의 윤활성 흉막액(pleural fluid)이 존재하여 폐와 흉벽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
  • 음압(negative pressure)을 유지하여 폐의 확장을 돕고, 호흡 과정에서 폐가 쉽게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함.

3. 흉막의 기능

  1. 윤활 작용: 흉막액을 분비하여 호흡 중 폐의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함.
  2. 기계적 보호: 폐를 감싸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
  3. 압력 유지: 흉막강의 음압이 폐의 팽창과 수축을 돕고, 폐포의 정상적인 가스 교환을 보조.

 

4. 흉막과 관련된 임상적 중요성

 

1) 기흉(Pneumothorax, 氣胸)

  • 흉막강 내에 공기가 유입되어 폐가 정상적으로 팽창하지 못하는 상태.
  • 원인: 외상, 자발성 폐파열, 의학적 시술 후 합병증.
  • 증상: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흉통, 기좌호흡(orthopnea).

2) 흉막삼출(Pleural Effusion, 胸膜滲出)

  • 흉막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많은 액체가 축적된 상태.
  • 원인: 감염(결핵성 흉막염, 폐렴), 암, 울혈성 심부전.
  • 증상: 호흡곤란, 흉통, 기침.

3) 농흉(Empyema, 膿胸)

  • 세균 감염 등에 의해 흉막강 내에 고름(pus)이 축적된 상태.
  • 치료: 항생제 치료 및 흉관 배액(chest tube drainage) 필요.

4) 흉막염(Pleuritis, 胸膜炎)

  • 흉막의 염증으로, 폐렴 또는 바이러스 감염 등이 원인.
  • 주요 증상: 흉막성 흉통(pleuritic pain), 기침, 호흡 곤란.

5. 결론

  • 흉막은 벽측흉막과 장측흉막으로 나뉘며, 그 사이의 흉막강은 음압을 유지하며 폐의 확장을 돕는다.
  • 흉막은 호흡 중 마찰을 줄이고 폐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흉막 관련 질환(기흉, 흉막삼출, 농흉, 흉막염 등)은 호흡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