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르몬은 혈액을 통해 이동하여 표적 세포(Target Cell)에 작용하는 신체의 화학적 신호 전달물질입니다.
✅ 신경전달물질과 달리, 호르몬은 신경계를 거치지 않고 혈류를 따라 전신으로 퍼지며 작용합니다.
1️⃣ 호르몬의 이동 방식
호르몬은 내분비샘(Endocrine Gland)에서 분비된 후, 혈액에 녹아 표적 세포로 이동합니다.
2️⃣ 호르몬의 작용 과정
🛑 1. 내분비샘에서 호르몬 분비
🛑 2.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이동
🛑 3. 표적 세포(Target Cell)의 수용체와 결합
🛑 4. 세포 내 신호 전달 → 세포 반응 유도
🛑 5. 생리적 반응 유도 (혈당 조절, 혈압 조절, 대사 조절 등)
📌 결론: 호르몬과 신경계의 차이
구분 호르몬(Endocrine System) 신경전달물질(Nervous System)
전달 방식 |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이동 | 신경을 따라 전기·화학적 신호 전달 |
작용 속도 | 느림 (초 |
빠름 (밀리초~초 단위) |
작용 지속 시간 | 길음 (수분~수일) | 짧음 (즉각적, 수초~분) |
표적 | 특정 수용체를 가진 전신의 세포 | 특정 신경과 연결된 세포 |
📌 즉, 호르몬은 혈액을 통해 이동하여 특정 세포에 작용하며, 신체 기능을 장기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율신경계(교감·부교감 신경)는 신경절(Ganglion)을 거쳐 표적 장기(심장, 폐, 소화기관 등)에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를 기준으로 신경절 이전 섬유(Pre-Ganglionic Fiber)와 신경절 이후 섬유(Post-Ganglionic Fiber)로 나뉩니다.
✅ 특징
✅ 경로
(감각) → 뇌간 → 척수 → 자율신경절(이전까지) → 시냅스 전달
✅ 특징
✅ 경로
자율신경절 → 시냅스(이후) → 표적 장기(심장, 폐, 소화기관 등)
📌 정리
자율신경계는 신경절을 경유하여 표적 장기로 전달되며, 신경절 이전과 이후에 따라 신경전달물질과 역할이 달라집니다.
폐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기관지, 폐포 (0) | 2025.03.14 |
---|---|
해부학적 설명: 폐와 종격의 구조 및 기능 (0) | 2025.03.12 |
신경계 & 내분비계 정리: 자율신경,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0) | 2025.03.07 |
📌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은 어디서, 어떻게 분비되는가? (0) | 2025.03.07 |
스트레스 반응 경로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