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원의 Mind & Body Healing Academ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김상원의 Mind & Body Healing Academy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45)
    • 해부 생리학 (32)
    • 경락학 (5)
      • 혈자리이야기 (1)
    • 근육학 (3)
    • 감정과신체반응 (1)
    • 나를 찾는 공부 (4)
    • 사회 생활 정보 (0)
홈태그방명록
  • 해부 생리학 32
  • 경락학 5
    • 혈자리이야기 1
  • 근육학 3
  • 감정과신체반응 1
  • 나를 찾는 공부 4
  • 사회 생활 정보 0

검색 레이어

김상원의 Mind & Body Healing Academ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 걷기만 해도 다리가 무거운 이유는?─ 비복근과 가자미근에 쌓인 ‘감정의 무게’

    2025.06.08 by no1pt

  • 머리뼈가 말하는 감정의 언어: 두정위·미간·사골의 비밀(브레그마,테리온,미간)

    2025.05.07 by no1pt

  • 간의 혈관 시스템 완전 정리|간동맥, 문맥, 간정맥 흐름 한눈에 보기: 간 해부용어 정

    2025.04.11 by no1pt

  • “역류성 식도염, 속쓰림만 문제일까?” 해부생리학과 감정의 연결 고리

    2025.04.06 by no1pt

  • 위산 역류의 숨겨진 원인: 식도열공 탈장과 역류성 식도염의 해부생리학적 연결고리

    2025.04.06 by no1pt

  • 🧩 위 주변 인대 간,십이지장,대장,비장 연결인대

    2025.04.06 by no1pt

  • 소망 (작은망, Lesser Omentum),대망 (큰망, Greater Omentum) 기능과 역할

    2025.04.05 by no1pt

  • 🧬 위장에서의 소화 과정과 주요 해부 구조 해설

    2025.04.05 by no1pt

🦵 걷기만 해도 다리가 무거운 이유는?─ 비복근과 가자미근에 쌓인 ‘감정의 무게’

🔍 “종아리가 뻐근하고, 숨도 짧아요...”걷기만 해도 종아리가 묵직한가요?러닝 후 다리에 쥐가 자주 나나요?아침부터 다리가 뻐근하거나 숨이 차진 않으세요?가만히 있어도 발목이 붓고 피곤하다면?📌 단순히 피곤해서일 수도 있지만,종아리 근육 속에 감정이 쌓이고 있는 건 아닐까요? 🧠 감정을 쌓는 근육, 비복근과 가자미근비복근(Gastrocnemius)과 가자미근(Soleus)은 종아리뒤쪽,우리가 설 수 있고 걸을 수 있는 하체의 핵심 근육입니다. 하지만 단순한 움직임만의 문제가 아닙니다.이 두 근육은 '제2의 심장'이라고 불릴 만큼 하체 혈류 순환과 정서적 흐름의 중심이기도 합니다.🌿 감정은 종아리에 쌓인다? “참고, 또 참고. 그런데 아직 멈출 수가 없어.”“더 이상 나아갈 힘이 없어요…”“앞으로..

근육학 2025. 6. 8. 17:51

머리뼈가 말하는 감정의 언어: 두정위·미간·사골의 비밀(브레그마,테리온,미간)

🧠 머리뼈에 숨겨진 에너지 센터 6곳 1️⃣ 브레그마 (Bregma)관상봉합과 시상봉합이 만나는 정중앙 지점.즉, 전두골과 두정골이 만나는 머리 꼭대기 부위입니다. 여기는 사고력, 의식 방향성, 뇌파 긴장도를 조절하는 중심입니다.불안이 많거나, 생각이 과도할 때 이 부위가 과열될 수 있습니다.요가나 명상에서 ‘정수리 호흡’을 강조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죠. 📌 브레그마 (Bregma) 마사지법 🧭 위치: 정수리 중앙, 전두골과 두정골 사이💆‍♂️ 마사지법:두 손가락(검지·중지)으로 정수리 부위를 부드럽게 누르며 원을 그리듯 돌려줍니다.호흡을 내쉬며 살짝 아래로 눌렀다가 놓기를 반복하세요.호흡과 함께 “내 의식이 맑아진다”는 의도를 가져보세요.🌀 효과:사고 정리, 과잉 생각 진정, 두통 완화..

해부 생리학 2025. 5. 7. 16:44

간의 혈관 시스템 완전 정리|간동맥, 문맥, 간정맥 흐름 한눈에 보기: 간 해부용어 정

간 해부학 구조 용어 설명Hepatic vein간정맥간에서 정맥혈을 하대정맥으로 배출Aorta대동맥전신으로 산소혈 공급Branch of hepatic artery간동맥 가지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간에 공급Branch of portal vein (distributing vein)문맥 가지장에서 흡수한 영양물질을 간으로 운반Branch of bile duct담관 가지간세포에서 생성된 담즙을 운반Right and left hepatic ducts좌우 간관담즙이 빠져나가는 통로Right and left hepatic arteries좌우 간동맥간의 좌/우엽에 산소 공급Portal vein간문맥장·비장 등에서 흡수한 혈액을 간으로 운반Portal triad of structures간문 3요소간동맥, 간문맥, 담관이 ..

해부 생리학 2025. 4. 11. 22:31

“역류성 식도염, 속쓰림만 문제일까?” 해부생리학과 감정의 연결 고리

🌀 역류성 식도염, '경계'가 무너질 때 시작된다 🔍 역류성 식도염이란?  역류성 식도염(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은위에서 생성된 위산(HCl)이식도로 역류하여식도 점막에 염증, 미란, 궤양을유발하는 만성 질환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단순히"위산이 올라온다"는 현상에그치지 않습니다. 식도와 위의 해부학적 연결 구조, 압력 조절, 신경계 반응, 감정 리듬까지‘경계 시스템의 총체적 붕괴’를 보여주는 질환입니다. 🔬 역류성 식도염 해부생리학적 병태 기전 1️⃣ 하부식도괄약근(LES)의 기능 약화LES는 식도와 위 사이에 존재하는 평활근 구조음식이 위로 진입할 때는 이완되지만,이후에는 즉시 닫혀 있어야 함압력이 저하되거나 긴장 유지 실패 시,위산이 식도로 역류하..

해부 생리학 2025. 4. 6. 20:07

위산 역류의 숨겨진 원인: 식도열공 탈장과 역류성 식도염의 해부생리학적 연결고리

🧬 왜 자꾸 속이 쓰릴까?‘스트레스’ 때문일 수도 있지만,위가 제자리를 벗어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식도와 위의 연결부,특히 ‘식도열공’과 ‘하부식도괄약근’이어떻게 위산 역류를 일으키는지를해부생리학적으로 정리해봅니다. ✅ 식도와 위의 연결, ‘분문’ 구조 식도(esophagus)는 근육으로 된 관으로인두에서 시작해 횡격막(diaphragm)을 지나위(stomach)와 만납니다. 식도가 횡격막을 통과하는 부분을식도열공(Esophageal hiatus)이라 하며위와 식도의 연결점인 분문(cardia) 부위에하부식도괄약근(LES, Lower Esophageal Sphincter)이 위치합니다.  이 괄약근은 '문지기'처럼 위 내용물이 다시 식도로 올라오는 걸 막아줍니다.그런데 이 위치나 기능에 이상이..

해부 생리학 2025. 4. 6. 16:16

🧩 위 주변 인대 간,십이지장,대장,비장 연결인대

✅ 1. 위대망간인대 (Gastrocolic Ligament)📍 위 ↔ 횡행결장 연결대망(Greater Omentum)의 일부위의 큰굽이에서 아래로 내려와 결장과 연결공간 지지 + 장기 보호 역할✅ 2. 위간인대 (Gastrohepatic Ligament)📍 위의 작은굽이(소만) ↔ 간 연결소망(Lesser Omentum)의 일부간문맥, 간동맥, 담관 등 주요 구조물 포함혈관·신경의 통로, 해부학적으로 매우 중요✅ 3. 위비장인대 (Gastrosplenic Ligament)📍 위 ↔ 비장 연결짧은 위동맥과 정맥이 지나며비장(면역기관)과의 혈류 연결✅ 4. 위대망인대 (Gastrosplenic Ligament)📍 위 ↔ 대망(omentum) ↔ 대장 및 주변 장기 연결공간을 지지하며혈관과 신경이 안..

해부 생리학 2025. 4. 6. 01:12

소망 (작은망, Lesser Omentum),대망 (큰망, Greater Omentum) 기능과 역할

☑️ 소망 (작은망, Lesser Omentum)🔹 간과 위를 연결하는 복막 주름 구조  1. 정의Lesser Omentum은 간의*간문부(문간)와 위의 작은굽이(소만) 사이를 잇는 두 겹의 복막 주름이다.2. 주요 구성간위인대(hepatogastric ligament)간십이지장인대(hepatoduodenal ligament) 포함3. 통과 구조물 (간십이지장인대 내부) 3대 구조가 이 통로를 지난다:간문맥(Portal vein)간동맥(Proper hepatic artery)담관(Common bile duct)→ 이 공간은 오멘탈 구멍(망구멍,그물막 구멍) Omental (Winslow’s) foramen과 연결됨 4. 기능 요약내장기관 연결 및 지지혈관·림프·신경의 통로간과 위 사이의 순환 교차로 역..

해부 생리학 2025. 4. 5. 22:41

🧬 위장에서의 소화 과정과 주요 해부 구조 해설

1. 식도 하부 괄약근 (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위치: 식도와 위 사이 경계에 존재하며, 위의 입구인 분문부(Cardia) 와 연결됨.기능평상시 수축 상태를 유지하여 위산이나 소화된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함.음식물이 식도를 통해 도달하면 일시적으로 이완되어 위로 내려보내고, 이후 다시 닫혀 역류를 차단.임상 중요성괄약근의 압력이 약하거나 이완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위식도역류질환(GERD) 를 유발함.GERD는 속쓰림, 만성 기침, 인후 이물감 등 다양한 증상과 식도 염증을 초래할 수 있음. 2. 분문부 (Cardia)기능적 역할LES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식도로부터 위체부(Body) 로 음식이 진입하는 관문 역할.위산의 상..

해부 생리학 2025. 4. 5. 20:2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6
다음
TISTORY
김상원의 Mind & Body Healing Academ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