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위장에서의 소화 과정과 주요 해부 구조 해설

해부 생리학

by no1pt 2025. 4. 5. 20:26

본문

반응형

 

1. 식도 하부 괄약근 (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

  • 위치: 식도와 위 사이 경계에 존재하며, 위의 입구인 분문부(Cardia) 와 연결됨.
  • 기능
    • 평상시 수축 상태를 유지하여 위산이나 소화된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함.
    • 음식물이 식도를 통해 도달하면 일시적으로 이완되어 위로 내려보내고, 이후 다시 닫혀 역류를 차단.
  • 임상 중요성
    • 괄약근의 압력이 약하거나 이완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위식도역류질환(GERD) 를 유발함.
    • GERD는 속쓰림, 만성 기침, 인후 이물감 등 다양한 증상과 식도 염증을 초래할 수 있음.

 

2. 분문부 (Cardia)

  • 기능적 역할
    • LES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식도로부터 위체부(Body) 로 음식이 진입하는 관문 역할.
    • 위산의 상승을 억제하는 기계적 완충지대로 작용함.
  • 기능적 연동
    • LES의 열림/닫힘과 동기화되어 위내 압력 조절 및 소화 전환 시작점을 형성함.

3. 위저부 (Fundus)

  • 구조적 특징
    • 위의 최상부, 왼쪽 위쪽에 위치하며, 소화 직후 식도와 연결된 부위.
    • 공기와 가스 저장 공간 역할을 함 (식사 중 삼킨 공기 포함).
  • 기능
    • 위 확장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식사 후 위 용적 증가를 수용하며 기계적 소화의 초기단계에 관여함.

 

4. 위체부 (Body of Stomach)

  • 기능 중심
    • 위의 중간 부분으로, 염산(HCl)펩신(단백질 분해 효소) 을 분비하는 벽세포주세포가 밀집해 있음.
    • 음식물의 화학적 소화가 본격적으로 일어나는 구간.

 

5. 전정부 (Antrum)

  • 기능
    • 소화된 음식물(Chyme)을 펄프화하여 십이지장으로 보내기 직전 단계까지 가공함.
    • 가스트린이라는 소화 호르몬을 분비하여 위산 분비를 조절함.
    • 위 전체의 수축 리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

 

6. 유문부 및 유문괄약근 (Pylorus & Pyloric Sphincter)

  • 위와 십이지장 사이의 밸브
    • 일정량의 키미(Chyme)가 십이지장으로 천천히 배출되도록 제어함.
    • 급격한 배출을 방지하여 십이지장에서의 흡수 효율과 완충작용을 도와줌.

 

🔍 요약: 위의 소화 흐름

  1. 음식물은 식도를 따라 하강하여 LES를 통해 위로 들어옴.
  2. 분문부(Cardia)위저부(Fundus) 는 음식물과 공기를 수용.
  3. 위체부(Body) 에서 강한 위산과 소화효소로 음식물이 분해됨.
  4. 전정부(Antrum) 에서 반고형의 키미(Chyme)로 가공됨.
  5. 유문부(Pylorus) 를 통해 일정량만 십이지장으로 이동.

 

✅ GERD(위식도 역류질환)의 핵심 메커니즘

  • LES가 닫히지 않거나 느슨해지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함.
  • 위산 역류는 식도 점막을 자극해 염증 및 통증을 유발.
  • 적절한 LES의 조절과 위내 압력 균형은 건강한 소화 시스템 유지의 핵심임.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