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 생리학
간의 혈관 시스템 완전 정리|간동맥, 문맥, 간정맥 흐름 한눈에 보기: 간 해부용어 정
no1pt
2025. 4. 11. 22:31
반응형
간 해부학 구조 용어 설명
Hepatic vein | 간정맥 | 간에서 정맥혈을 하대정맥으로 배출 |
Aorta | 대동맥 | 전신으로 산소혈 공급 |
Branch of hepatic artery | 간동맥 가지 |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간에 공급 |
Branch of portal vein (distributing vein) | 문맥 가지 | 장에서 흡수한 영양물질을 간으로 운반 |
Branch of bile duct | 담관 가지 | 간세포에서 생성된 담즙을 운반 |
Right and left hepatic ducts | 좌우 간관 | 담즙이 빠져나가는 통로 |
Right and left hepatic arteries | 좌우 간동맥 | 간의 좌/우엽에 산소 공급 |
Portal vein | 간문맥 | 장·비장 등에서 흡수한 혈액을 간으로 운반 |
Portal triad of structures | 간문 3요소 | 간동맥, 간문맥, 담관이 나란히 지나가는 구조 |
Central vein system | 중심정맥계 | 간소엽 중심에서 혈액을 모아 간정맥으로 보냄 |
🔄 혈액 흐름 요약 (3계통 정리)
1. 🟥 간동맥 (Hepatic artery)
- 심장 → 대동맥 → 간동맥
- 간세포에 산소 공급
2. 🟪 간문맥 (Portal vein)
- 장, 비장, 위 → 간문맥 → 간
- 영양소 + 독소 + 약물이 포함된 정맥혈
- 간에서 해독, 대사, 저장
3. 🟦 간정맥 (Hepatic vein)
- 간 → 간정맥 → 하대정맥 → 심장
- 간에서 처리된 정맥혈이 심장으로 되돌아감
🩸 간문맥(Portal Vein)의 역할
✅ 기본 정의
간문맥은 장(腸), 비장, 위, 췌장 등에서
흡수된 영양소와 노폐물이 포함된 정맥혈을
곧바로 심장으로 보내지 않고,
먼저 간(Liver)으로 운반하는 특수한
정맥 혈관입니다.
🎯 간의 핵심 역할
- 영양소 처리
- 소장에서 흡수된 탄수화물, 아미노산,
- 일부 지용성 물질을
간으로 보내 가공, 저장, 변환
(예: 포도당 → 글리코겐, 암모니아 → 요소)
- 해독 작용
- 약물, 독성 물질, 장내 독소 등을
간에서 1차 해독 후 전신으로 흐르게 함
→ 이걸 "first-pass effect (초회 통과 효과)"라고 함
- 약물, 독성 물질, 장내 독소 등을
- 대사 및 저장 조절
- 간은 혈중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영양분을 저장하거나 방출하는 기능 수행
- 간은 혈중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 면역 방어 기능
- 간문맥을 통해 들어온 미생물, 항원 등을
**쿠퍼세포(Kupffer cells)**라는 간 내 면역세포가 처리
- 간문맥을 통해 들어온 미생물, 항원 등을
💡 간문맥은 소화기관에서 흡수된 물질을
간으로 운반하여 해독하고 대사하는
‘혈액의 정류장’ 역할을 한다.
반응형